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변비·변실금 센터

치료방법

골반저 질환

골반저질환을 자연스러운 노화 현상 쯤으로 여겨 많은 분들이 병을 키우고 있습니다. 병의 치료를 위해서는 전문적인 상담 및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골반근육이나 괄약근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약물, 물리, 수술적 치료가 필요합니다.

생활습관 변화 및 케겔 운동 : 골반근육 강화
식이요법이나 체중감량, 비타민 C와 콜라겐이 풍부한 식생활 등 생활습관의 조절 만으로도 증상이 나아질 수 있습니다.
약물 요법
폐경기 여성에게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 투여 요법을 시행해 골반조직을 강화시키고 장기 탈출을 예방할 수 있고, 변비도 단계별로 약물치료의 내용이 다릅니다. 변실금도 약물로 좋은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
바이오피드백(Biofeedback) 요법
골반근육의 강화를 위해 모니터를 보면서 적절한 힘주기를 배우는 행동 치료의 일종입니다. 항문조절 기능을 익히고 변실금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수술
골반 내 장기 탈출로 인해 불편한 증상이 심한 경우 수술이 필요합니다.

만성변비

식이섬유 섭취
변비가 있다면 약 보다는 식이섬유를 보충해 주는 것이 우선입니다.
식이섬유는 대장 유익균의 먹이로 사용되어 대장운동 기능을 원활하게 해주고, 수분을 머금는 성질이 있어 대변의 부피를 키우고 변을 쉽게 볼 수 있도록 돕습니다. 식이섬유 보충제나 식이섬유가 풍부하게 함유된 차전자피(질경이 씨앗 껍질)를 복용하면 도움이 됩니다.
운동 및 물리 치료
장의 운동을 도와주고 스트레스를 해소해 변비를 치료합니다. 유산소 운동이나 간단한 맨손 체조 만으로도 증상이 완화됩니다.
바이오 피드백이라는 물리치료를 통하여 약물에 반응하지 않는 폐쇄성 변비를 호전시킬 수 있습니다.
약물 치료
약물을 복용할 때는 대변을 부드럽게 만드는 부피형성하제, 삼투성 완화제, 자극성 완화제(일반적으로 알려진 변비약) 순서로 사용해야 합니다.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자극성 완화제는 장 운동을 강제적으로 촉진시키기 때문에 일시적 효과는 크지만 장기간 복용하면 대장 운동 기능 저하로 변비가 더 악화될 수 있습니다.
수술치료
약물에 반응이 없는 서행성 변비나 직장탈출증이나 장중첩증의 경우는 수술을 통해서 변비를 치료할 수 있습니다.

직장류

보존적 치료
고 섬유식 식이, 배변 완화제, 배변 습관 교정 등
바이오피드백 치료
일종의 행동치료로 컴퓨터 화면을 보면서 자신의 항문근육이 오그라드는 정도를 눈으로 직접 보면서 스스로 운동을 통해 올바른 이완법을 익히는 치료입니다. 치료시간은 대개 40분 정도이며 5 ~ 6회 정도 훈련이 필요합니다.
수술
수술은 증상이 있는 직장류, 즉 변을 본 후에도 변의 일부가 직장류 내에 남는 경우에 수술을 합니다. 직장류의 크기가 3cm이상인 경우도 수술 대상이 됩니다. 수술은 약해지고 늘어져 있는 직장=질 벽을 겹쳐서 단단하게 꿰매 줍니다.

변실금

보존적 치료 및 약물치료
괄약근 손상이 심하지 않고 음부신경에 이상이 없는 경우 약물치료로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바이오피드백 치료
약물에 잘 반응하지 않는 경우 시행하는 물리치료입니다.
일종의 행동치료로 컴퓨터 화면을 보면서 자신의 항문근육이 오그라드는 정도를 눈으로 직접 보면서 스스로 운동을 인식해 올바른 수축법을 익히는 치료입니다. 치료시간은 대개 40분 정도이며 5-6회 정도 훈련이 필요합니다.
수술
약물과 바이오피드백치료에 효과가 없거나 괄약근 손상이 많은 경우 수술적 치료를 통해 변실금을 교정할 수 있습니다.
본원에서는 본원만의 특화된 수술 방법인 "표준화 티어시 수술법"을 이용하여 변실금을 간단하게, 효율적으로 수술하고 있습니다.
천수신경 자극술
다른 치료에 효과가 없는 경우 신경자극술을 통해 변실금을 고치기도 합니다.

온라인
증명서 신청
바로가기
QR Code